CentOS SELinux 끄기 – SELinux disable



SELinux 개념


리눅스는 마이크로스프트 운영체제와는 다르게 오픈소스로 보안에 많이 취약하다는 평을 받았는데요. 이때 도입된 것이 바로 SELinux입니다. SELinux는 리눅스 보안을 위해 강화해주는 보안 커널입니다. Linux 시스템용 보안 아키텍처인데요. zero-day, buffer overflow 등의 공격을 방지 해주며 각종 해킹을 방지해줍니다.

SELinux 동작 확인


SELinux는 enforce, permissive, disable 세 가지 모드가 존재합니다. 레드햇 계열의 CentOS는 이 중 enforce로 작동됩니다. 터미널 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SELinux 활성화가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활성화 상태

 [root@nopiamanual ~]# $ sestatus
 SELinux status:                             enabled
 SELinuxfs mount:                        /selinux
 Current mode:                            enforcing
 Mode from config file:               enforcing
 Policy version:                             24
 Policy from config file:               targetedS

비활성화 상태

 [root@nopiamanual ~]# $ sestatus
 SELinux status:                             disabled

 

SELinux 해제


※ 인터넷에 연결된 리눅스의 경우 SELinux 해제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필자는 SELinux 해제를 하는 것 보다 iptables나 firewalld 같은 방화벽 데몬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부득이하게 해제를 해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따라하시길 바랍니다.

1.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SELinux 설정 파일을 들어갑니다.

 [root@nopiamanual ~]# $ vi /etc/sysconfig/selinux
 SELINUX=enforcing 

2. SELiux=enforcing로 되어있는 것을 disabled로 수정합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SELinux를 재부팅하면 정상적으로 비활성화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root@nopiamanual ~]# $ getenforce
 Disabled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별표를 클릭하여 평가하세요!

평균 평점 1 / 5. 투표 수: 1

지금까지 투표가 없습니다! 이 게시물을 평가하는 첫 번째 사람이 되십시오.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Fill out this field
Fill out this field
유효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error: 펌방지 해제가 불가능합니다.